가정의 달에 보면 좋은 영화 ⑦ - '밥'은 '피'보다 진하다, <고령화 가족>

이현우 승인 2021.05.22 07:00 의견 0
좌측부터 작은 아들(박해일), 막내 딸(공효진), 엄마(윤여정), 손녀(진지희), 큰 아들(윤제문). 사진 네이버 영화


[OTT뉴스=이현우 OTT 1기 리뷰어] 50이 넘도록 독립을 못하고 조카 피자나 뺏어먹는 전직 깡패 큰 아들이 있다.

가족 중 유일한 대졸자에, 영화감독(상업적으로 크게 실패하기는 했으나)의 명함까지 팠지만 밀린 월세를 감당하지 못해 슬그머니 집에 눌러앉은 작은 아들이 있다.

이혼만 두 번째, 작은 아들의 말을 빌리자면 '남자 만나는 데는 도가 튼', 그렇게 세 번째 결혼을 준비하는 막내딸과 그의 손녀도 있다. 그리고 엄마가 있다.

모두가 흉보는 이놈의 집구석을, 영화는 '고령화가족'이라 부른다.

영화는 앞으로 나아가는 서사에 집중하기보다, 이 '답도 없는' 가족들의 캐릭터와 관계를 보여주는데 상당 부분을 할애한다.

철없는 어른들의 매일같이 투닥거리는 일상과 도무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콩가루 집안'의 모습에 관객들이 마냥 혀를 차고 웃을 때, 영화는 내내 공들였던 이들의 관계를 새롭게 꺼내든다.

그것은 바로 세 남매가 사실 온전한 혈연관계가 아니었다는 것이다.

늘 티격태격 싸우는 두 형제. 사진 네이버 영화

지긋지긋한 얼굴들을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지탱해주던 혈연의 명분이 사라지고, 급기야 서로에게 모진 말을 뱉어가며 가족은 급작스럽게 와해된다.

북적대며 수저를 들던 식탁이 텅 비고, 이제야 삼겹살을 독차지하게 되었지만 혼자 먹는 밥상이 어딘가 쓸쓸하다.

멀어진 이들은 서로에게 의지하고 힘이 됐던,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아무런 대가를 바라지 않고 함께 손을 잡았던 때를 떠올린다.

혈연이 아닌, 숟가락을 맞부딪치며 살아온 날들이 이들을 가족으로 만들어왔음을 인식하고 서로를 진정한 의미의 가족으로 받아들인다.

<고령화가족>에서 '밥'의 의미는 특별하다. 자살을 기도하던 둘째 아들은 '좋아하는 닭죽 먹고 가라'는 어머니의 전화 한 통에 집으로 향한다.

그렇게 눌러 앉은 집에서, 못마땅하던 어머니의 새 남자친구와 라면을 끓여먹으며 가족으로 맞이한다.

조카가 얄밉게 혼자 시켜먹은 피자를 아무렇지 않게 뺏어먹는 것은 '식구끼리 나눠먹어야' 하기 때문이고, 천방지축 가족들을 한 자리에 모아놓는 것은 어머니가 매일같이 구워내는 삼겹살이었다.

영화 속에서 다양하게 제시되는 '밥'은, 이들을 식구(食口)라는 이름으로 혈연보다 강력하게 묶어주는 것이었다.

거실에 함께 모여 밥을 먹는 다섯 식구. 사진 네이버 영화


<고령화가족>은 전통적 가족의 기준이었던 '혈연'을 무너뜨리고, '식구'로서의 가족의 의미를 되묻는다.

이유야 명분이야 어찌됐건, 함께 밥상에 앉아 수저를 드는 것이 곧 가족 아니겠냐고.

맛있고 좋은 음식이 있으면 멀리서라도 부르고 싶고, 서로 눈을 흘기면서도 음식을 나눠먹는 것이 당연한, 둘러 앉아 삼겹살과 라면을 집어먹는 일상이 어설프지 않은 사람들이 바로 가족 아니겠냐고.

우리를 가족으로 만든 건, 매일같이 함께 밥을 먹으며 쌓아올려진 날들이 아니겠냐고.

오늘날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등장하면서, '정상 가족'이라고 하는 개념이 무너지고 가족의 의미를 모색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무엇이 우리를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묶어주는가.

<고령화 가족>이 제시하는 답은 '식구'다.

인생이 결국 먹고 살기 위한 발버둥이라면, 함께 찌개를 나눠먹는 일은 우리네 인생에 중요한 가치를 더해준다.

'먹는 입'들이 한자리에 모여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우리는 그것을 '가족'이라고 부를 수 있지 않을까.

가족의 정의를 새롭게 모색한 <고령화가족>은 왓챠에서 시청 가능하다.

저작권자 ⓒ OTT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ottnew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