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빙 오리지널 〈이대형의 크보랩〉 8화가 경기의 흐름을 단숨에 바꾸는 결정적 요소, ‘페이크’를 집중 해부하며 야구 팬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이번 회차는 내야에서 자주 등장하는 고의낙구 규정으로 시작됐다. 고의낙구는 내야수가 플라이 타구를 고의로 떨어뜨려 병살을 유도하는 행위를 막기 위한 장치로, 해당 규정이 적용된 실제 경기 사례가 소개돼 눈길을 끌었다. 또한 콘텐츠는 고의낙구가 왜 필요하며 어떤 상황에서 선언되는지를 짚고, 병살로 연결되지 못한 사례까지 함께 보여주며 규정의 맥락을 풍부하게 설명했다.
수비 페이크 장면도 이어졌다. 먼저 LG 박해민이 물 흐르듯 주자를 속여낸 플레이, 한화 노시환이 병살을 이끌어낸 수비 페이크, 기아 김호령이 시간을 벌어낸 장면 등이 등장해 이대형 해설위원과 강성철 캐스터의 극찬을 받았다. 이대형 해설위원은 “내야수가 가만히 서 있기만 해도 주자는 공이 오지 않는 줄 착각해 슬라이딩 타이밍을 놓치게 된다”며, 다양한 페이크 장면 중 한화 노시환의 플레이를 가장 인상 깊었던 장면으로 꼽기도 했다.
송구 페이크 역시 눈길을 끌었다. 그중 지난 7월 25일 KIA-롯데전에서 KIA 박찬호가 공을 투수에게 던지는 과정에서 실투가 있었지만, 이를 투수가 곧장 1루로 연결해 2루 주자를 잡아내는 장면이 등장했다. 의도치 않은 상황에서 나온 해당 플레이는 오히려 ‘송구 페이크’의 진수를 보여주며 이용자들의 감탄을 자아냈다.
포수의 페이크 분석에서는 최근 야구에서 잘 언급되지 않는 ‘프레이밍’이 화두에 올랐다. 프레이밍은 스트라이크 존 바깥쪽에 들어온 공을 미트의 움직임으로 존 안으로 끌어들이는 기술이다. 최근에는 ABS(자동 볼·스트라이크 판정 시스템) 도입 이후 KBO에서는 프레이밍의 효과가 크게 줄었다. 스트라이크존을 기계가 판정하기 때문에 포수가 아무리 정교하게 공을 움직여도 판정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대형 해설위원은 “투수가 느끼기에는 여전히 프레이밍이 심리적 신뢰와 연결된다”며, 포수가 공을 ‘잡아주는 느낌’을 주는 것만으로도 투수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KBO를 뜨겁게 달군 화제의 장면을 알아보는 코너 ‘요즘 크보’에서는 타석에서 벌어진 특별한 순간들이 이어졌다. 타석 박스 안에서 맞은 공이 몸에 맞으면 파울이 되는 규정을 살펴보며 양의지의 부러진 배트에 공이 두번 맞았지만 안타로 인정된 상황, 이대형 해설위원이 번트를 시도하다 얼굴에 공을 맞아 아웃을 당한 플레이까지 다양한 사례로 야구의 이해도를 높였다.
야구의 디테일을 짚어내며 야잘알로 거듭나게 하는 티빙 오리지널 〈이대형의 크보랩〉 9화는 9월 1일(월) 낮 12시 티빙에서 공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