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챠(대표 박태훈)가 영상콘텐츠 삽입곡을 감지하여, 음원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신기능을 오픈했다고 7일 밝혔다.
왓챠 개발팀이 직접 개발한 이번 기능은 영화, 드라마, 예능 등 왓챠 내 다양한 콘텐츠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을 AI 모델이 음원구간을 감지 및 분석해 곡 제목, 가수 등 주요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OTT플랫폼 중에서는 최초로 도입되는 기능이다.
기존 OTT 플랫폼에서는 콘텐츠 내 삽입곡 정보를 바로 확인하기 어려웠다. 이용자들은 원하는 곡을 찾기 위해 별도의 검색을 하거나, OST가 공개되지 않은 경우에는 곡 정보를 아예 확인하지 못하는 불편함을 겪어왔다. 이에 왓챠는 콘텐츠의 삽입곡을 자동으로 인식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들이 콘텐츠 감상과 동시에 음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이번 기능은 왓챠의 AI 분석 역량과 콘텐츠 라이브러리 및 운영 노하우를 결합해 개발됐다. 왓챠는 2012년 콘텐츠 평가 및 추천 서비스로 출발한 이래, 개인화된 콘텐츠 큐레이션과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 고도화에 특화된 기술력을 보유했다. 왓챠는 이를 더욱 확장하여 음원 인식 및 정보 확인 기능 개발에 착수해 신기능을 오픈하게 됐다.
이번 삽입곡 자동 생성 기능은 왓챠의 콘텐츠 경험을 한 단계 더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용자들은 왓챠에서 영화나 드라마를 감상하다가 마음에 드는 음악이 흘러나오면, 별도의 조작 없이 곡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콘텐츠 감상의 몰입도를 높이고, 음악 감상까지 이어지는 확장된 경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왓챠는 음악 플랫폼과의 협업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콘텐츠에서 확인한 음악을 바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로 연결해, 이용자들이 감상한 곡을 손쉽게 듣고 즐길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왓챠는 앞으로 왓챠는AI와 데이터 기반의 개인화 기술을 더욱 고도화해, 이용자 맞춤형 콘텐츠 추천과 연계 서비스의 질을 지속적으로 높여갈 계획이다.
왓챠 이태현 CTO는 “왓챠는 설립 초기부터 머신러닝 AI로 추천 기술을 자체 개발해왔으며, 이번에도 미디어 에센스 처리에 적합한 기존 AI 모델을 선별하고 정교하게 튜닝해 추론에 활용했다”며 “글로벌 대기업이 막대한 자금을 투입해 만드는 범용 AI 모델과 달리, 왓챠는 서비스 특성에 맞게 콘텐츠 분야의 전문성을 결합해 더 효율적인 AI 상용화 모델을 구현했다”고 말했다.
왓챠 박태훈 대표는 “이번 삽입곡 자동 생성 기능과 ‘왓챠파티’ 등의 왓챠만의 기능을 통해 이용자들이 더 다양하고 확장된 콘텐츠 감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